전체 글 56

[확률과 통계] 이산형, 연속형 확률분포

이산형 확률분포베르누이 시행베르누이 시행 이항분포이항분포이항분포의 가법성이항정리 초기하분포초기하분포초기하분포의 이항 근사 포아송분포포아송분포이항분포의 포아송근사포아송분포의 가법성 기하분포, 음이항분포기하분포와 음이항분포 연속형 확률분포지수분포지수분포지수분포의 무기억성지수분포와 포아송분포와의 관계 정규분포정규분포정규분포의 표준화이항분포의 정규근사 균일분포균일분포 정리 궁금한 것이나 잘못된 것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확률과 통계] 확률변수

확률변수확률변수 확률함수확률질량함수확률밀도함수누적분포함수적분: 연속형 확률변수를 계산할 때에는 적분을 이용해야 한다. 수학적 기댓값기댓값분산기댓값의 성질 결합확률분포결합확률함수주변분포조건부분포독립 상관계수공분산상관계수공분산과 상관계수정리 궁금한 것이나 잘못된 것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확률과 통계] 기술 통계학

통계학통계학: 자료에 근거하여 모든 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추론과 :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고자 하는 학문이다.기술통계학: 자료를 수집하여 표나 그림 등을 통하여 자료를 정리 또는 자료를 요약하는 방법을 다루는 분야이다.추론통계학: 표본에 내재 되어 있는 정보를 분석하여 모집단의 여러 가지 특성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다루는 분야이다.모집단: 정보를 얻고자 하는 관심 대상의 전체집합을 말한다.모수: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낸 수치이다.표본: 통계적 처리를 위하여 모집단에서 실제로 추출한 관측값이나 측정값의 집합이다. 자료자료의 종류(변수의 구분)  표, 그래프를 이용한 자료의 표현표, 그래프를 이용한 자료의 표현: 도수분포표나 표, 히스토그램, 막대그래프, 줄기와 잎..

[이산수학] 함수

함수의 개념함수: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가 성립할 때, 집합 A의 원소 a에 대하여 집합 B의 원소 b 하나가 대응되는 관계를 말한다.원상: 집합 B의 원소 b와 대응하는 집합 A의 원소 a를 말한다.상: 집합 A의 원소 a에 대응하는 집합 B의 원소 b를 말한다.정의역: 원상의 집합, 집합 A를 말한다.공역: 상이 포함된 집합, 집합 B를 말한다.치역: 상의 집합, 집합 B의 부분집합, ran(f) = {f(a) | a ∈ A} 관계와 함수의 차이관계: 집합 A(정의역)의 어떤 원소는 집합 B(공역)의 원소와 전혀 대응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원소와 대응할 수 있다.함수: 집합 A(정의역)의 모든 원소는 집합 B(공역)의 원소 하나와 반드시 대응해야 한다. 함수의 성질단사 함수: 모든 x, ..

수학/이산수학 2024.07.04

[이산수학] 관계

관계의 개념관계(relation: R: A→B, aRb) / 이항관계(binary relation): 집합 A, B가 있을 때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관계로, R은 A x B의 부분집합이다. a∈A, b∈B일 때, (a, b)∈R이면 aRb, (a, b) ∉ R이면 aR/b 이라고 표현한다.정의역(domain: dom(R)):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첫 번째 원소가 포함된 집합, 즉 집합 A를 말한다. dom(R) = {a | a ∈ A}공역(codomain: codom(R)): 집합 A에서 집합 B로 가는 이항관계 R에 속한 순서쌍의 두 번째 원소가 포함된 집합, 즉 집합 B를 말한다. codom(R) = {b | b ∈ B}치역(range: ran(R)): 집합..

수학/이산수학 2024.07.03